캘리포니아 비영리단체 환경보건센터(CEH)는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간 스포츠 의류에 포함된 비스페놀A(BPA)를 분석했다. 17일(현지시각) 미국 CNN에 의해 공개된 분석 결과, 나이키·아디다스·파타고니아·챔피온·애슬레타 등 8개 브랜드 제품에서 안전 한도의 최대 40배에 달하는 BPA가 검출됐다. 캘리포니아주의 BPA 기준치는 3㎍(마이크로그램, 100만분의 1g)으로, 미국 내 다른 주에 비해 엄격하다.
검출된 제품은 레깅스, 반바지, 스포츠브라, 운동 셔츠 등 다양했다. 모두 ‘스판덱스’ 소재가 포함된 폴리에스터 소재 의류에서만 검출됐다. 앞서 진행된 검사에서는 아식스, 노스페이스 등 브랜드의 스포츠 브라 제품에서 안전 기준치의 22배에 달하는 BPA가 검출됐었다.
CEH는 “스포츠 브라나 운동복은 몇 시간 동안 착용하는데다 많은 땀을 흘리기 때문에 많은 양의 BPA가 검출된 것이 우려스럽다”며 “소비자는 운동 후 즉각 옷을 갈아입고 착용 시간을 줄이는 등 BPA 노출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업체를 대상으로 ‘BPA 제거’ 청원을 진행 중이다. 아직까지 관련 회사들의 공식입장은 나오지 않았다.
한편, BPA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중 하나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유사해 내분비계를 교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아직까지 체내에 축적된 비스페놀A가 성조숙증이나 성기능 장애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 그래도 비만을 유발하거나 간에 무리를 줄 수 있어 노출은 최대한 피하는 게 좋다.
BPA는 일상 속에서 흔히 사용하는 딱딱하고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나 내부 코팅제 등에 많이 쓰인다. 특히 비스페놀A가 함유된 용기에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음식을 데우면 과도하게 노출될 수 있으며 영수증을 자주 만지는 마트 종업원들은 혈중 BPA 농도가 높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므로 주의하는 게 좋다.
1. 환경호르몬
2. 나이키
3. 아디다스
4. 기준치 초과
5. 환경호르몬 검출
6. 체육복
7. 아디다스 환경호르몬
8. 나이키 환경호르몬
9. 환경호르몬 옷
10. 스포츠웨어 환경호르몬
11. 기준치 40배
12. 아디다스 옷 호르몬
13. 나이키 옷 호르몬
14. 체육복 환경호르몬 검출
15. 스포츠웨어 브랜드 환경호르몬
16. 아디다스 환경호르몬 기준치
17. 나이키 환경호르몬 기준치
18. 대형 브랜드 환경호르몬 검출
19. 옷에서 환경호르몬 검출
20. 환경호르몬 유해성
21. 나이키 아디다스 호르몬 문제
22. 체육복 환경호르몬 논란
23. 환경호르몬 기준치 초과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