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은 뇌의 혈관에 피가 제대로 통하지 않아 뇌 조직의 일부가 괴사하는 질환으로, 뇌혈관의 문제가 발생해 생기는 뇌졸중의 한 종류이다. 뇌경색이 발생한 후 빠른 혈관 재개통이 이뤄지지 않으면 뇌세포 손실이 지속해서 발생해 결국 영구적 후유 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중증질환이다.
특히 뇌경색 발병 후 인지기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보통은 뇌경색 당시 병변이 크거나 인지기능과 관련된 뇌 영역이 손상됐을 때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가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니 뇌경색은 위에 언급된 두 가지 위험인자가 없는데도 인지기능저하가 발생해 아직 이에 대한 예측인자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 김치경 교수, 핵의학과 어재선 교수 연구팀이 미니 뇌경색과 인지기능저하 사이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는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미니 뇌경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급성 미니 뇌경색으로 입원한 37명의 50세 이상 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뇌경색 발생일 이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 신경심리검사와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시행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 여부와 아밀로이드 축적여부를 확인했다. 1년 뒤, 간이인지기능검사와 임상치매척도를 시행해 장기간 인지기능변화 추이 확인했다.
그 결과, 뇌경색 대상자 37명 중 11명(29.7%)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확인됐고, 아밀로이드 축적이 확인된 11명 중 7명 (63.6%)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로 진단됐다. 이번 연구를 통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장기적으로도 인지기능관련 나쁜 예후와 연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성훈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인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미니 뇌경색 환자의 인지기능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일부 미니 뇌경색 환자에서 베타아밀로이드 항체 약물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를 막는데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 뇌에 쌓인 물질
2. 알츠하이머 유발원인
3. 미니 뇌경색
4. 뇌 건강
5. 뇌혈관질환
6. 뇌에 쌓인 ‘이것’이 알츠하이머 유발
7. 알츠하이머와 미니 뇌경색의 관계
8. 알츠하이머 예방법
9. 미니 뇌경색의 원인
10. 뇌 건강에 좋은 음식
11. 뇌에 쌓이는 물질
12. 뇌 질환 예방
13. 뇌의 노화 방지
14. 신체 이상과 뇌질환
15. 미니 뇌경색의 증상과 치료
16. 노인성 질환 예방
17. 뇌노화 증상
18. 알츠하이머 치료법
19. 노인성 뇌질환
20. 뇌건강을 위한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