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창회에서의 싸움으로 손가락 절단 발생,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은?

동창회에서의 싸움으로 손가락 절단 발생,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은?, 시보드 블로그

초등학교 동창회에서 취한 채로 다투다가 손가락을 깨물어 절단시키는 사고가 발생했다. 불미스러운 일이긴 하지만 손가락 절단은 일상에서도 꽤 흔하게 발생한다. 119에 신고한 다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

지난 16일 경기도 여주경찰서는 상해 혐의로 60대 남성 A씨를 체포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초등학교 동창 사이인 A와 B씨는 동창회에서 술을 마신 뒤 함께 귀가하던 중 노상에서 말다툼하다가 몸싸움까지 벌였다. 이 과정에서 A씨의 입에 B씨의 오른손이 들어갔는데, A씨가 깨물면서 새끼손가락 일부가 절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손 부위 외상성 절단 사고’는 매년 1만2000건 내외로 꽤 흔하게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 1만2207건 ▲2018년 1만2526건 ▲2019년 1만1871건이 발생했다. 주요 원인은 프레스 공장 끼임 사고다. 농촌지역에서는 농기계를 사용하다가, 일반 가정에서는 칼 등 주방기구에 베이거나 문틈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사고를 당하기도 한다. 매년 약 300건은 10살 미만 아이들에게서 일어난다.

119에 신고한 다음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조치는 지혈이다. 손가락이 절단되면 절단 부위로부터 심박출에 따라 혈액이 물총 쏘듯이 솟구친다. 이를 방치하면 패닉이 지속돼 미주신경성 실신으로 이어지고 다음 조치를 취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만약 손가락 한 마디가 잘려나갔다면 그 위 1cm 지점을 가볍기 눌러주기만 해도 지혈할 수 있다. 지혈제를 사용하면 수술을 방해할 수 있어서 권고하지 않는다.

지혈보다 중요한 건 접합수술을 대비해 훼손된 손가락을 챙기는 것이다. 뇌, 척수 등으로 이뤄진 중추신경계는 외상에 의해 손상되면 기능을 회복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그런데 우리 몸 곳곳에서 감각, 자극을 전달하는 말초신경계는 제때 접합수술을 시행하면 높은 확률로 이전 기능을 되찾을 수 있다. 골든타임은 부위마다 다르지만, 손가락은 12~24시간으로 알려졌다. 손목 및 발목은 6시간 정도다.

훼손된 손가락은 차가운 온도로 보관해야 한다. 이물질이 묻어 있다면 식염수나 수돗물로 닦아주고 거즈나 천에 싸서 비닐 등으로 밀봉한 다음 다시 얼음과 물을 넣은 비닐에 넣는 게 좋다. 약 4도 정도에 보관하면 세포들의 산소요구량이 감소하므로 괴사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알코올, 우유 등에 담궈서 보관하는 건 금물이다.

훼손 부위가 거의 뭉개졌더라도 챙기는 게 좋다. 찢어져 나간 피부 조직이라도 수술 과정에서 임시방편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손가락뿐만이 아니라 몸에서 조직이 떨어져 나간 경우, 챙길 수 있는 상태라면 챙기는 게 유리하다.

1. 동창회 싸움
2. 손가락 절단
3. 손가락 깨물기
4. 응급처치 방법
5. 싸움 중 상해
6. 손가락 손상
7. 응급처치의 중요성
8. 충동적인 행동의 결과
9. 신체 부상 첫응급
10. 동창회에서의 망신
11. 신체 부상 대처법
12. 동창회 손상 사례
13. 절단 손가락 응급처치
14. 손가락 절단 회복
15. 응급처치 교육 필요성
16. 싸움으로 인한 응급상황
17. 동창회에서의 갈등에 대비하기.
18. 손가락 절단 사고
19. 동창회 사건
20. 손실 상황 대처방법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