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맛을 내는 성분은이 혀에 닿으면 얼얼하고 화끈거리는 게 일반적이다. 이때, 누군가는 맵다고 느끼고 누군가는 안 맵다고 느끼게 되는데 이는 입안의 ‘TRPV1 수용체’ 때문이다. 매운 음식을 잘 못 먹는 사람은 입안의 TRPV1 수용체가 상대적으로 많다.
TRPV1 수용체란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며 통증 전달과 조절에 관여하는 수용체다. 매운 음식에는 주로 캡사이신이 들어가는데 캡사이신은 TRPV1 수용체를 활성화해 통증을 유발한다. 그래서 TRPV1 수용체가 많을수록 매운 음식을 잘 못 먹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TRPV1 수용체가 상대적으로 적으면 그만큼 통증을 덜 느껴 매운 음식을 잘 먹게 된다.
매운 음식을 잘 못 먹는 사람이 매운 음식을 먹어야 한다면 우유를 곁들여보자. 매운맛은 통각이라 혀의 열감을 진정시켜야 나아지는데 식감이 부드러운 우유가 매운맛을 완화한다. 단, 미지근한 우유보다는 차가운 우유를 선택한다. 2019년 ‘영국 물리학회 투고논문집 지구 및 환경과학’에 따르면, 25~27도의 미지근한 우유나 36~38도의 따뜻한 우유보다 1.5~3도의 차가운 우유를 마셨을 때 매운맛을 느끼는 정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했다.
밥, 빵 등 탄수화물과 함께 먹는 것도 방법이다.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 성분은 탄수화물과 만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분해되기 때문이다. 다만 밥이나 빵을 그냥 바로 삼키기보다 입에 어느 정도 물고 있다가 씹어야 더 효과적이다.
1. 매운 음식 못 먹는 이유
2. 입안의 맛세포
3. 매운 음식과 맛세포
4. 매운 음식 헤비트
5. 매운 음식 알레르기
6. 매운 음식과 감각
7. 매운 음식에 대한 반응
8. 매운 음식 먹을 때 체감
9. 매운 맛을 느끼는 과학적 원리
10. 캡사이신과 맛세포
11. 매운 음식을 더 잘 먹는 방법
12. 매운 음식물을 무서워하는 이유
13. 맵기 허용치 테스트
14. 매운 음식 먹기에 대한 팁
15. 매운 음식에 대한 인간의 반응 이해하기
16. 매운 음식과 유전자
17. 매운 음식에 대한 개인 취향
18. 매운 맛은 어떻게 느껴지는가?
19. 쓴맛과 매운맛: 감각의 차이
20. 매운 음식에 관한 신화와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