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상 신호, 통증 동반 여부로 판단
다행히 소리가 나면서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다면 건강상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아직까지 무릎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학계는 닫혀 있는 관절 속이 스트레칭으로 압력이 낮아지면서 관절액 속에 녹아있던 질소, 산소 등 분자가 기화되면서 기포를 형성하고, 뚝 하는 소리를 낸다고 추정한다. 마치 탄산음료 뚜껑을 열었을 때 기포가 발생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특히 기체가 다시 관절액으로 녹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관절액은 뼈와 뼈가 맞닿는 부위를 부드럽게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액체를 말한다. 이런 이유로 한번 뚝 소리가 난 후 20분가량은 같은 자극을 줘도 소리가 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뚝 소리가 자주 나도 관절과 관련된 질환이 발생할 확률 역시 낮다. 실제로 미국 도널드 엉거 박사는 관절을 꺾어 소리를 내는 게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왼쪽 손가락만 하루 2회 이상 매일 60년 동안 꺾은 후 왼손과 오른손을 비교했지만, 어느 손에도 관절과 관련된 질환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가 날카로운 통증을 함께 동반한다면 관절 질환으로 유발된 증상일 수 있다. 병원을 방문해 진찰과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통증이 없으면 수술적 치료까지 요하는 경우가 많진 않지만, 통증을 동반한 소리는 연골이나 관절 속 구조물에 병변이 생긴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레칭, 벽·의자 활용하기
간혹 일부로 무릎 소리를 내는 사람이 있다. 뼈를 맞추는 느낌이 들고, 시원하다는 이유에서다. 무릎 관련 질환이 있는 사람은 과도한 스트레칭을 피하는 게 좋다. 질환이 없다면 소리를 내는 스트레칭으로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드물어 목을 제외하곤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아도 된다. 스트레칭을 할 때는 벽이나 의자 등을 이용하는 게 좋다. 관절 자체는 과하게 움직이지 않으면서 주변 근육과 힘줄은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
1. 무릎 통증
2. 건강 이상 신호
3. 무릎 소리
4. 무릎 관절 문제
5. 통증의 원인
6. 무릎 “뚝” 소리
7. 관절 질환
8. 건강 상태 체크
9. 무릎 관절질환 증상
10. 움직임과 통증
11. 무릎 문제 징후
12. 건강 정보
13. 건강 관리 방법
14. 체형 불균형과 통증
15. 무릎 소리 원인
16. 무릎 통증 진단
17. 무릎 문제 해결방법
18. 즉시 병원 찾기
19. 건강 진단 방법
20. 정기적인 체크업 필요성
21. 건강 컨디션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