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병 다음 날 다시 마시면 감수해야 할 위험성이란?

생수병 다음 날 다시 마시면 감수해야 할 위험성이란?, 시보드 블로그

입이 닿은 페트병에선 세균이 빠르게 번식하기 때문에 페트병에 물이 남아 있더라도 마시지 않는 게 좋다.

한 번이라도 입이 닿았던 페트병에선 세균이 빠르게 번식한다. 페트병에 물 등 음료가 남아 있더라도 마시지 않는 게 좋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진행한 실험에 따르면 ▲페트병 뚜껑을 연 직후에는 물 1mL당 세균 수가 한 마리 ▲한 모금을 마셨을 때는 900마리 ▲하루가 지난 후에는 4만 마리가 넘게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준치의 400배를 초과한 셈이다. 실제로 ‘먹는 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을 살펴보면 먹을 수 없는 물은 물 1mL당 세균수가 100마리를 넘어가는 경우로 정의된다.

특히 페트병에 입을 대고 마시면 침이 물속에 들어가고, 침속의 세균이 빠르게 증가한다. 세균이 번식한 물은 복통, 석사, 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나 요즘 같은 더운 날씨에는 세균이 더 빠르게 번식한다. 생수 업계 관계자는 “페트병을 한 번 개봉하면 공기 중에 있던 세균이 생수로 유입될 수 있고, 입을 대고 마시면 침이 들어갈 수 있다”며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무수히 많기 때문에 페트병 생수는 되도록 냉장 보관을 하고, 입을 댔다면 최대한 빨리 마셔야 한다”고 말했다.

물을 마시고 남은 페트병을 물병으로 재사용하는 행위도 삼간다. 서울시가 숙박업소에서 재사용한 500mL 생수병을 검사한 결과, 기준치의 50배에 달하는 세균이 검출됐다.

페트병에 든 물을 마실 때는 차라리 물을 컵에 따라 마시는 게 좋다. 입을 댔다면 한 번에 다 마시고, 하루 이상 지난 물은 버려야 된다. 

1. 생수병 재사용 위험
2. 생수병 다음 날 다시 마시는 위험성
3. 생수병 입 대고 마시면 위험
4. 생수병 위생 관리
5. 생수병 다시 마시면 위험한 이유
6. 생수병 재사용시 주의사항
7. 생수병 재사용 위험성
8. 플라스틱 생수병 다시 마시면 안되는 이유
9. 입 대고 마신 생수병 위험성
10. 생수병 재사용 관련 과학적 사실
11. 다음 날 또 마신 생수병 위험
12. 생수병 재사용 건강 위험
13. 중요한 생수병 위생 관리법
14. 생수병 재사용 오해와 진실
15. 생수병 재사용 건강 피해
16. 깨끗한 생수병 사용방법
17. 생수병 다시 마시지 말아야하는 이유
18. 제대로 된 생수병 관리법
19. 일회용 생수병 재사용에 관한 유의사항
20. 생수병 재사용을 피하는 이유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