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워 후 양치습관, 여드름 유발 원인이 될 수 있음

샤워 후 양치습관, 여드름 유발 원인이 될 수 있음, 시보드 블로그

양치를 세수나 샤워 후에 하는 습관이 턱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

턱 여드름이 다른 사람보다 유독 자주 생긴다면, 떠올려 보자. 혹시 샤워나 세수 후에 양치를 하지는 않았는가? 양치하면서 턱에 닿는 침과 치약 성분이 턱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

치약에 칫솔을 묻혀 구석구석 입 속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는 양치를 하다 보면 입가와 턱에 치약 성분, 음식물 찌꺼기, 타액 등이 튀어 묻게 된다. 세 가지 물질 모두 피부에는 최악이다.

타액과 음식물 찌꺼기는 여드름을 유발하는 세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타액은 약산성이라 피부를 자극할 수도 있다. 특히 이미 피부가 산성 상태인 지성 피부에 더욱 안 좋다.

치약에는 불소, 연마제, 계면활성제 등 치아 위생에는 좋을지 몰라도, 피부 장벽에는 안 좋은 성분들이 다량 함유돼 있다. 뉴욕 마운트 시나이 병원 피부과 조슈아 자이크너(Joshua Zeichner) 박사는 영국 미디어 데일리 메일과 인터뷰에서 “치약은 피부가 아닌 입 안쪽에 단기간 닿는 걸 고려해 만들어진다”며 “치약 자체가 피부에 닿으면 피부를 자극해 다양한 발진, 건조함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했다.

이미 여드름 등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나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치약 속 불소, 계면활성제 등의 성분이 피부질환을 악화할 수 있다. 자이크너 박사는 “특히 불소치약은 입 주위 여드름 등 피부 발진과 관련이 깊다”고 했다.

양치 후엔 입 주변을 물로 헹궈 내 치약 잔여물을 깨끗이 제거해야 한다. 자이크너 박사는 “턱 여드름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양치 후 세안이나 샤워를 해 물로 피부에 남아있는 타액이나 치약 물질을 확실히 제거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세수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입 주변 거품이라도 꼼꼼히 씻어내야 한다. 씻은 후에는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스킨이나 로션을 바른다.

한편, 양치할 땐 칫솔에 치약을 짠 후 물을 묻히지 말아야 한다. 거품양을 늘려 입가와 턱 피부에 치약, 타액 성분이 더 많이 묻게 할 뿐만 아니라 양치 효과도 떨어진다. 치약이 물에 닿으면 충치 유발 균과 치석 등을 제거하는 연마제와 충치를 예방하는 불소 성분이 희석돼 농도가 낮아지고 세정력이 떨어진다.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