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시절 미국의 장례식은 어땠을까?
–
장례 의식은 문명의 여명기부터 있었다. 유럽인들이 북아메리카에 정착할 때쯤, 가장 흔한 전통은 죽은 사람을 묻는 것이었고, 물론 이것은 많은 종교적인 요소들을 포함했다. 그러나 미국은 단지 기독교 정착자들이 살았던 곳이 아니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그들만의 장례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장례 전통은 어땠을까?
사진을 통해 13개 식민지 주민들의 장례 전통을 살펴보도록 하자.
빨리 진행되어야 했다.
–
냉장 시설이 부족했기 때문에 장례식은 더 빨리 치러져야 했다. 겨울에는 며칠 더 여유가 있었을 것이다.
무덤은 작았다.
–
1609년에서 1610년 사이 제임스타운의 겨울 (“기아의 시기”로 알려지게 된)과 같이 특히 어려운 시기에, 사람들은 작은 무덤에 빽빽하게 묻혔고 심지어 먹기 위해 발굴되었다고 전해진다.
청교도 장례식은 조용했다.
–
청교도 장례식은 조용했다.
–
고인의 운명은 불확실했다.
–
영국 청교도 식민지 주민들은 신을 믿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지옥에 갈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죽음에 대해 복잡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고인의 운명은 불확실했다.
–
죽음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
장례식은 설교자들이 인간의 죄악이 얼마나 큰지 경고하기에 완벽한 환경이었다. 죽음 이후 그 사람의 최종 목적지를 하나님만이 알았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불안은 현실이었다.
네덜란드의 장례 전통
–
아안프레커
–
아안프레커는 검은색 상복을 입은 남자로, 그의 직업은 사람들의 문을 두드리고 한 가정의 구성원들을 장례식에 초대하는 것이었다. 공식적으로 아안프레커의 초청을 받은 사람들만 뉴암스테르담(현재의 뉴욕)에서 열리는 장례식에 참석할 수 있었다.
관을 운반하는 것
–
관을 운반하는 것
–
묘석
–
식민지 초기에는 간단한 나무 표식을 사용하곤 했지만, 대신 점차 복잡한 표식들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묘석
–
날개 달린 두개골(일명 죽음의 머리), 날개달린 천사 등의 상징물과 다른 이미지가 사용되기도 했다. 글자 또한 이름과 날짜에서 시로, 그리고 다른 모든 것으로 진화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매장은 달랐다.
–
미국 인디언 부족들은 물론 그들만의 장례의식이 있었다. 하지만 버지니아 주 로아노크의 원주민들은 사후세계가 선한 사람들에게는 천상일 것이고 나쁜 사람들에게는 지옥과 비슷할 것이라고 믿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매장은 달랐다.
–
뉴 잉글랜드 부족의 고위 구성원들은 특별한 매장을 했다. 부족 구성원들은 그들의 얼굴을 검정색으로 칠하고, 매장 장소에는 나무 널빤지와 특별한 천이 위에 놓여 표시되었다.
다양한 종교적 풍경
–
식민지 시절 미국에는 청교도들이 대다수였지만, 퀘이커 교도들, 일부 가톨릭 신자들, 아메리카 원주민들, 그리고 심지어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도 있었다. 뉴잉글랜드의 종교적인 풍경은 정말로 다양했고, 그것은 장례 의식에 반영되었다.
상류층의 장례식
–
1717년 뉴잉글랜드의 치안판사이자 정치가인 웨잇스틸 윈드롭의 장례식은 600파운드가 넘는 비용이 드는 호화로운 일이었다. 이것은 대부분의 식민지의 연간 세수보다 더 많았다.
청교도들의 장례식은 너무 시끄러워졌다.
–
문제가 된 정교하고 값비싼 장례식
–
장례용 장갑이 대유행했다.
–
18세기 상류층 장례식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장갑을 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스타일의 문제가 아니었다. 이것들은 실제로 기념품으로 착용되었고, 종종 고인이 지불했다.
장례용 장갑이 대유행했다.
–
장갑은 계층에 따라 배포되었다. 사람들은 때때로 장례식 초대의 일부로 장갑을 보냈고,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한 일부 손님들은 여전히 장갑을 보관해야 했다.
장갑은 큰 사업이었다.
–
어떤 (중요한) 사람들은 정말 많은 장례식에 초대를 받았기 때문에 많은 장갑을 얻었다. 예를 들어, 앤드류 엘리엇 보스턴 목사는 30년 동안 거의 3,000 켤레의 장례용 장갑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그 중 일부를 팔았다.
반지
–
장갑 한 켤레가 애도자들에게 주어진 유일한 선물은 아니었다. 반지는 그 당시에도 인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웨잇스틸 윈드롭의 1717년 장례식에서 60개의 반지를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었다.
불법이 된 반지
–
반지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반지는 결국 1741년 매사추세츠 주의 제정법에 의해 불법이 되었다.
흑인 식민지 전통
–
초기에 노예의 장례식은 조용한 일이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불법화되기도 했다. 비록 일부 아프리카 장례 전통은 살아남았지만 말이다.
흑인 식민지 전통
–
분리된 묘지
–
매장지는 계층별로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종 간에도 분리되어 있었다.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과 자유로운 아프리카인들과 그들의 후손들 모두 별도의 묘지에 묻혔다.
이상한 매장
–
규칙을 어긴 공동체 구성원들은 매장이 거부될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 한 예로 살렘 마녀 재판의 희생자들이 있다.
침울한 색상
–
조문객들이 선택한 색상은 검은색이었다. 장례식에 참석할 때 입는 옷부터, 심지어 가정에서도 장례식을 위한 색상은 기본적으로 검은색이었다.
업무분담
–
사람들은 집에서 죽는 경우가 많았고, 죽음 이후의 업무는 가족의 성별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여성들은 시신을 준비하고 예배를 위한 음식과 음료를 준비하고, 남성은 관과 종교에 관련된 일을 돌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