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테리아균은 생존력이 강해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살아남는다. 가정용 냉장고에 있는 얼음틀도 안전하지만은 않다. 냉동실에 넣어두고 자주 세척하지 않는 집이 많아 오히려 리스테리아균 오염에 취약하다. 얼음이 녹으며 그 속의 리스테리아균이 생장·증식하면 식중독에 걸릴 수 있다. 심하게는 패혈증, 뇌수막염 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다른 식중독 원인균인 노로바이러스도 얼음 속에서 오래 살아남는다. 얼음 속 노로바이러스가 3일 후에 99%, 17일 후에 45% 살아남았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측정 결과가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99.9%가 감소해야 감염성을 잃은 것으로 판정된다.
얼음을 새로 얼리기 전엔 얼음틀을 물로 씻어야 한다. 식약처에 의하면 식품을 수돗물에 2분 이상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약 30초 세척하는 것이 노로바이러스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다. 물로 씻으면 리스테리아균도 거의 사라진다. 얼음틀 자체는 식품이 아니지만, 얼음이 직접 맞닿는 물건인 만큼 식품처럼 꼼꼼히 씻는 게 좋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끓인 물로 얼음을 얼리라는 게 식약처 권고다.
그래도 균이 걱정이라면 간단한 방법으로 얼음 틀을 살균할 수 있다. 식초를 탄 물에 얼음 틀을 20분 정도 담근 후, 물로 깨끗이 씻어 내 완전히 말리는 것이다. 오래 쓴 얼음 틀에 얼룩이나 때가 있다면 쌀뜨물을 사용해도 좋다. 쌀뜨물에 한 시간 정도 담가 두면 쌀뜨물 속 녹말이 얼음 틀의 얼룩을 지우고 냄새를 흡수한다. 그래도 남아 있는 얼룩은 굵은 소금을 뿌린 후 솔로 틀 표면을 문질러 없앤다.
1. 밀크셰이크 사망 사건
2. 식중독균
3. 얼음틀 식중독균
4. 밀크셰이크 안전성
5. 식중독 예방법
6. 얼음틀 청소법
7. 식중독균 항원
8. 식중독 원인
9. 식중독 증상
10. 식중독 치료법
11. 식품 위생 관리
12. 병원성 균종
13. 밀크셰이크 위험성
14. 얼음틀 관리법
15. 식품 안전
16. 식중독 사망 사건
17. 전염성 질환 확산
18. 음식점 위생
19. 집중 조사 식품
20. 냉동 식품 위험성
21. 식품 안전법
22. 어린이 식중독
23. 식중독 대처법
24. 위생 검사 필수
25. 밀크셰이크 식중독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