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순영 교수 연구팀은 앉아있는 시간과 주당 신체활동 일수가 심뇌혈관질환 누적 발생률에 끼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지난 10년간 좌식시간을 기준으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료패널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828명을 나눴다. 하루 평균 좌식시간이 ▲비교적 적게 유지된 그룹1(4.2시간 → 4.9시간, 53.1%) ▲길었으나 대폭 감소한 그룹2(8.8시간 → 5.0시간, 14.7%), ▲길었으나 소폭 감소한 그룹3(10.5시간 → 8.5시간, 9.9%) ▲좌식시간이 크게 증가한 그룹4(5.6시간 → 7.7시간, 22.2%)로 분류했다. 이때 좌식시간은 직장 또는 학교에서 근무나 학업 등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 여가시간에 앉아있거나 누워서 보낸 시간 등을 모두 포함했다.
연구팀은 신체활동을 기준으로도 참가자들을 분류했다. ▲주 2~3일 이상 시행한 A그룹(32.1%) ▲주 1일 시행한 B그룹(57.3%) ▲전혀 하지 않는 C그룹(10.7%)이었다. 신체활동은 최근 한 주간 달리기, 등산과 같이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많이 가쁜 격렬한 신체활동을 20분 이상 혹은 배드민턴, 탁구 등과 같이 평소보다 몸이 조금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중등도 신체활동을 30분 이상 실천한 평균 일수로 정의했다. 연구팀은 좌식시간과 신체활동을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과 연관시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좌식시간이 많았다가 크게 감소한 그룹2은 좌식시간이 적었다가 크게 증가한 그룹4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30% 낮았다. 또 주 2~3일 이상 신체활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A그룹은 신체활동 실천을 전혀 하지 않는 C그룹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40% 낮았다.
흥미로운 점은 좌식시간이 길더라도 신체활동의 이점은 분명했다는 것이다. 좌식시간이 적은 수준에서 크게 증가한 그룹4 참가자들 사이에서도 주 2~3일 이상 신체활동을 한 경우(A그룹)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C그룹)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팀은 상황이 암울하다고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에서 지난 10년간 국내 성인의 약 75%에서 좌식시간이 증가한 반면, 주당 신체활동 실천 일수는 감소했으며 약 10%는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서다.
연구의 저자 이순영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불가피하게 좌식시간이 길더라도 꾸준히 주 2~3일 이상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하면 심뇌혈관질환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다만 재택·원격근무, 스마트기기의 발달 등으로 국내 성인의 좌식시간이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신체활동은 감소하고 있어 신체활동을 높이기 위한 개인과 국가차원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 역학회지(Epidemiology and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1. 심혈관질환 예방법
2. 오래 앉아 있는 생활 습관 개선
3.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 방법
4. 유사운동
5. 심혈관질환 원인
6. 건강한 생활 습관
7. 심혈관질환과 앉아 있는 시간
8. 일상에서 심혈관 건강 증진법
9. 작은 활동으로 심혈관 건강 증진
10. 심혈관질환 위험도 낮추는 실내 운동 추천
11. 심혈관질환 위험도 줄이는 스트레칭 방법
12. 앉아 있는 시간과 심혈관질환의 관계
13. 책상 작업자를 위한 심혈관 건강 팁
14. 심혈관질환 관리 방법
15. 앉아있는 시간을 활용한 건강 관리법
16. 독서 중에도 심혈관질환 예방법
17. 유사운동으로 심혈관질환 예방하는 방법
18. 건강 유지를 위한 심혈관질환 예방법
19. 장시간 앉아있는 환경에서의 심혈관 질환 관리
20. 체력 소모 없이 심혈관질환 예방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