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예방을 위한 권장 수면 시간은 무엇일까?’

‘우울증 예방을 위한 권장 수면 시간은 무엇일까?’, 시보드 블로그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하루 수면량이 5시간 미만일 경우 우울증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면 부족이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된 사실로,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도 하루에 적정량 이상 수면을 취할 필요가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 연구팀은 영국 ‘노화 종단 연구’ 자료를 활용해 수면량과 우울증 발병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 대상자는 총 7146명으로, 이들은 일 평균 7시간의 수면을 취했으며, 약 10%는 하루 수면량이 5시간 미만이었다.

연구 결과, 밤에 5시간보다 적게 자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12년 사이에 우울증 증상을 겪을 가능성이 2.5배 높았다. 연구 시작 당시에는 수면 시간이 5시간 미만이었던 사람이 10% 정도였으나, 종료 시점에서는 15%로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우울 증상이 확인된 사람의 비율 또한 9%에서 11%로 확대됐다. 우울증 증상이 있는 사람 중 약 3분의 1은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밤에 지속적으로 짧은 수면을 취하는 것이 우울증의 전조 증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수면 부족과 우울증을 피할 수 없는 문제로만 여겨선 안 된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진행한 오데사 해밀턴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좋은 정신 건강을 위한 수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며 “잠을 우선시하고 잠을 미루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중개 정신의학’을 통해 최근 발표됐다.

1. 우울증 예방에 필요한 수면시간
2. 잠과 우울증의 관계
3. 우울증, 수면부족
4. 우울증 방지를 위한 적정 수면시간
5. 우울증에 좋은 수면습관
6. 우울증 예방방법
7. 우울증의 원인과 수면시간
8. 아무리 잠을 자도 피곤한 이유
9. 대처하는 방법,
10. 수면부족과 우울증
11. 수면부족이 가져오는 우울증
12. 잠을 많이 자는 것이 우울증 예방인 이유.
13. 우울증 개선방법,
14. 수면시간 기준,
15. 자는 시간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16. 우울증 관리법
17. 우울증을 예방하는 수면 팁
18. 우울증 없는 행복한 생활,
19. 수면과 우울증 관리
20. 우울증 완화를 위한 자는 시간.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