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의 과식, 안전한가? 의사의 조언을 확인해보세요

임산부의 과식, 안전한가? 의사의 조언을 확인해보세요, 시보드 블로그

10월 10일은 ‘임산부의 날’이다. 풍요와 수확을 상징하는 10월과 임신기간 10개월을 의미하는 이날은 임신과 출산을 사회적으로 배려하고 출산, 양육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자는 취지로 제정됐다.

임신 중이라면 태아의 성장과 산모의 건강을 위해 음식을 잘 섭취해야 한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임산부에게 있어 잘 먹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 바로 ‘체중 관리’다. 건강한 출산을 위해 체중 관리가 필수다. 비만 치료 전문가 365mc 올뉴강남본점 김정은 대표원장의 도움말로 임산부 체중 관리 요령을 살펴봤다.

◇하루 260~300kcal 추가 섭취 적당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임산부에게 권장되는 추가 칼로리는 하루 평균 260~300kcal 수준이다. 임신 3개월까지는 하루 150kcal, 이후 6개월간은 하루 300kcal 정도 더 섭취하면 된다. 물론, 더 먹어도 된다고 아무 음식이나 먹어선 안 된다.

김정은 대표원장은 “칼로리보다는 섭취하는 음식의 영양성분을 확인하는 게 우선”이라며 “밥은 평소 식사량보다 3분의 2공기 정도 더 먹고, 단백질 메뉴를 반 접시 정도 더 챙기며, 식이섬유와 미량영양소가 풍부한 채소는 되도록 많이 섭취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김 대표원장은 이어 “임산부는 공복감을 많이 느끼는데 이때 당류가 많이 든 군것질보다는 견과류, 닭가슴살 육포, 요구르트 등 영양가가 풍부한 간식을 섭취해야 임산부와 아이의 건강을 동시에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임산부, 몸무게 체크는 필수
초기 임산부라면 ‘적정 체중 증가 범위’를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임산부의 체중 증가 안전 범위는 보통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정하는데 BMI 18.5~24.9 이내의 보통 체격 임산부라면 11~16㎏, BMI 25~29 사이의 과체중인 경우라면 7~11㎏ 정도가 적정 체중 증가 범위다. BMI 18 이하 저체중이거나 BMI 지수가 30이 넘는 고도비만이라면 주치의와 상담을 통해 체중 관리에 나서는 것이 좋다.

◇”임산부라 많이 먹어도 된다”는 건 옛말
김정은 대표원장은 “뭐든 적당한 게 좋다”며 “임산부라면 너무 잘 먹어도, 너무 안 먹어도 안 된다”고 말했다.

뱃속에 아이가 있다고 맘 놓고 먹다가는 산모와 아이 둘 다 고생할 수 있다. 산모의 경우 영양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당뇨병‧고혈압 등이 수반되는 임신중독증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며, 아이의 경우 영양분을 과잉 섭취하면 거대아로 성장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 경우 분만 과정에 복합적으로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다.

산후 비만을 지나치게 걱정해 임신 중에 무리한 다이어트를 이어가는 것도 위험하다. 산모가 적정 수준의 칼로리를 섭취하지 않으면 태반에 영양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태아의 대사적 발달 및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김 대표원장은 “임신 후 엄마의 영양관리는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가장 잘 맞는 것 같다”며 “영양이 너무 지나쳐도, 부족해도 두 사람 모두 영향받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출산 전 체중 관리는 미용 목적이 아닌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위한 것”이라며 “출산 이후 관리만 잘 한다면 충분히 출산 전 몸매로 돌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1. 임산부의 영양 섭취
2. 임산부의 식사량
3. 임산부 식단
4. 임산부 지나친 식사
5. 임산부의건강한다이어트
6. 임산부 체중 관리
7. 임산부 헬시푸드
8. 체중증가와 임신
9. 임산부 양식 끼니
10. 임산부 베이비푸드
11. 임산부의 과다식사
12. 의사의 임산부 식사 조언
13. 임신기간 동안의 식사량
14. 임신 중 건강한 체중 관리
15. 임산부과식의 위험성
16. 임산부를 위한 영양 지침
17. 의사의 건강한 임신 권장사항
18. 임신 중 과식의 위험
19. 임산부의 올바른 식사 습관
20. 건강한 임산부 다이어트 팁.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