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신경염’ 어지럼증 원인 새롭게 발견: 최신 연구결과

‘전정신경염’ 어지럼증 원인 새롭게 발견: 최신 연구결과, 시보드 블로그

국내 연구팀이 전정신경염이 자기면역이상 반응으로 유발될 수 있다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국내 연구팀이 전정신경염이 자기면역이상 반응으로 유발될 수 있다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전정신경염은 급성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흔한 질환 중 하나로, 평형 기능을 담당하는 전정신경과 미로의 염증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왔다. 염증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잠복헤르페스 바이러스 재활성화나 미로 말초혈행장애 등 다양한 기전들이 제시돼 왔으나, 정확한 원인은 미상으로 남아있었다.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이선욱 교수, 이비인후과 박의현 교수 연구팀이 전정신경염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전정신경에 발현된 GQ1b강글리오사이드 자기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전정신경염의 발생과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19년부터 2023년 사이에 급성 어지럼증으로 발현하여 고려대 안암병원에 내원한 105명의 전정신경염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중 11%의 환자들은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가 양성으로 확인됐으며, 항체가 없는 환자들보다 전정신경 기능이 동시에 손상될 양상이 3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와 함께 시간이 경과하면서 대부분 환자에서 항체는 음전됐으며 환자들의 전정신경기능이상도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강글리오사이드 항원은 사람의 전정신경을 포함한 중추신경계와 다양한 뇌신경 전반에 걸쳐 분포돼 있고,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는 신경세포막 사이에 존재하는 강글리오사이드 세포를 공격해 여러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강글리오사이드 항원과 어지럼과의 연관성이 임상적으로 규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급성 어지럼증 발생에 전신적인 자가면역이상이 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은 기존 미상으로 남아있던 여러 가지 어지럼증 질환들의 발생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여타 질환들의 이론적 배경과 향후 면역치료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했다.

이선욱 교수는 “급성 어지럼증은 환자에게 막대한 불편감을 초래하면서도 조기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환자 개인으로서도 사회적으로도 많은 자원을 고갈한다”며 “어지럼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임상적으로 자가면역과의 연관성을 확인한 만큼 이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과학회지 ‘신경학(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1. “전정신경염”
2. “전정신경염 원인”
3. “새로운 원인”
4. “전정신경염 새로운 연구”
5. “전정신경염 치료”
6. “어지럼증 원인”
7. “어지럼증 치료”
8. “어지럼증 증상”
9. “전정신경염 증상”
10. “어지럼증과 전정신경염”
11. “신경학적 질환”
12. “전정신경염 연구결과”
13. “전정신경염 진단”
14. “전정신경염 재발”
15. “신경학 연구 최신소식”
16. “전정 피로”
17. “어지럼증에 좋은 음식”
18. “어지럼증 셀프 치료法”
19. “전정신경염 예방법”
20. “신경염 치료방법”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