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2023년 3분기, 65세 이상 결핵환자 수(율)>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결핵환자 수는 1만5451명(10만 명당 30.1명)으로, 2022년 3분기(1만5432명, 10만 명당 30.1명) 대비 0.1%(19명) 증가했다. 65세 이상 결핵 환자는 2023년 1~9월 전체 결핵 환자 1만5451명 중 8950명(57.9%)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0% 늘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와 80대 이상에서 증가했고, 이 중 80대 이상은 7.8%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0~50대까지는 모두 감소했고 특히, 10대, 30대가 각각 13.7%, 13.5%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국내 결핵환자는 정부의 국가결핵관리사업 등으로 2011년 이후 2022년까지 연평균 7.9%로 11년 연속으로 감소세를 이어왔지만 올해 초부터 감소세 둔화 및 증가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 어르신 결핵 환자 수가 늘어난 이유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 조치 상황이 종료(마스크 의무해제 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대면 모임에 제약이 있었던 65세 이상의 접촉 빈도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료기관의 검사나 진단 접근성 회복, 국내 체류 외국인 증가세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어르신들은 특히, 환절기 호흡기 질환에 취약해 마스크 착용 등 개인방역과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아 한다”며 “가족들이 많이 모였던 추석 연휴 이후 2주 이상 기침,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꼭 검진을 받아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 보건소(259개)에서는 결핵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무료 결핵검진(연 1회)을 실시하고 있다. 결핵 진단을 받으면 약을 복용해 결핵균을 없애야 한다.
1. “어르신 결핵 증가”
2. “코로나 후 어르신 질병”
3. “결핵 12년만 증가”
4. “어르신 질병 증가”
5. “결핵 유행”
6. “어르신 중 결핵 증가 이유”
7. “코로나 후 결핵”
8. “어르신의 건강 문제”
9. “결핵 예방 및 치료”
10. “코로나 이후 질병 변화”
11. “어르신 질병 관리”
12. “어르신 건강 관리”
13. “결핵 환자 증가”
14. “장년층 결핵 증가세”
15. “post-COVID-19 건강 문제”
16. “결핵 질병 정보”
17. “어르신 건강 관리 팁”
18. “결핵 예방법”
19. “어르신을 위한 건강 정보”
20. “결핵 증가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