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벌룬 흡입으로 사망까지 이르게한 문제의 성분

해피벌룬 흡입으로 사망까지 이르게한 문제의 성분, 시보드 블로그

사진=로이터

베트남에서 환각 성분이 담긴 이른바 ‘해피벌룬’을 즐긴 10대 소녀가 척수 손상으로 병원에 실려가는 일이 발생했다. 해피벌룬 안에 들어있는 건 아산화질소인데 과다 흡입할 경우 저산소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지난 17일, 베트남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북부 꽝닌성에 거주하는 15세 소녀는 최근 해피벌룬을 하루에 10개씩 10일 연속으로 사용했다. 이후 사지 마비, 피로,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겪고 걷는 것조차 하지 못하게 되면서 병원으로 이송됐다. 검사 결과 소녀는 척수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는 소녀가 추가로 아산화질소 중독을 보이는지 살피며 고압 산소 치료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해피벌룬 속 문제의 성분은 아산화질소다. 의료용 보조 마취제에 사용하는 화학물질로 엄연한 환각물질이다. 우리 몸에는 이산화탄소가 일정량 이상 존재해야 호흡 기능이 촉진된다. 그런데 체내 아산화질소 농도가 높아지면 이산화탄소가 줄어 호흡 작용 저하로 산소가 부족해진다. 특히 술을 마신 상태에서 해피벌룬을 흡입하는 사람이 많은데, 알코올 자체가 호흡 유발 기능을 떨어뜨려 저산소증 위험이 더 높아진다.

저산소증은 어지러움, 운동실조 등의 증상이 생기며, 산소 부족으로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병원에서는 아산화질소를 사용할 때 저산소증을 막기 위해 마취가 끝나면 100% 산소를 주입해 체내 산소 농도를 높인다. 하지만 술자리나 길거리에서 아산화질소를 사용한 경우 저산소증 증상이 생겨도 즉시 100% 산소를 투입하기 어렵다. 폐포 속에 아산화질소가 많이 들어있으면, 인공호흡을 해도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워 심한 경우 뇌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저산소증은 연령대나 건상 상태와는 별 상관없다.

한편, 한국에서 해피벌룬은 불법이다.  2017년 경기도 수원에서 20대 남성이 일명 해피벌룬으로 아산화질소를 과다 흡입해 사망하면서 그해 8월 국내 판매가 금지됐다. 베트남도 마찬가지다. 베트남 보건부는 2019년 기분 전환 등을 위한 목적으로 아산화질소를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그런데 술집, 클럽 등에선 여전히 암암리에 판매되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1. 해피벌룬 사망 사건
2. 해피벌룬 흡입 위험성
3. 해피벌룬 성분 문제
4. 해피벌룬 사망 원인
5. 해피벌룬 비상장 등 원인 성분
6. 해피벌룬이 삶을 위협하는 이유
7. 케미컬 인게스트의 위험성
8. 일회용 풍선의 안전 문제
9. 파티용품으로 인한 건강 위험성
10. 실내 장식품의 위험성
11. 헬륨 가스 흡입의 부작용
12. 해피벌룬 사용시 주의사항
13. 해피벌룬과 같은 가정용품의 은밀한 위험성
14. 휴대용 풍선 펌프의 문제
15. 해피벌룬과 관련된 안전 규정
16. 헬륨발란스 흡입 후유증
17. 필요 이상의 헬륨 흡입의 위험성
18. 가정에서의 안전한 풍선 사용법.
19. 즐거움이 죽음을 부르는 풍선 “해피벌룬”
20. 갑자기 사망하는 해피벌룬 흡입 사례.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