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작열감증후군은 혀에 뚜렷한 이상이 없는데도 혀가 화끈거리고 얼얼한 질환을 말한다. 점점 증상 부위가 넓어진다면 빠른 시일 내에 구강내과를 찾아 원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게 좋다.
증상은 특히 혀끝이나 혀 가장자리에 많이 나타나고, 혀의 위 표면, 입천장, 아랫입술에도 이상감각이 느껴질 수 있다. 간혹 전과 다른 맛이 느껴지기도 한다. 혀 점막에 고랑이 생기는 균열설이 동반될 수도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의학적 연구에 따르면 환자들의 약 60%는 혀와 상피에 있는 가느다란 신경섬유가 소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통증, 온도 등에 의한 자극 전달에 이상이 생겨 통증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스트레스, 구강 내 국소 자극, 흡연, 호르몬 변화, 침샘 기능 저하 등이 질환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50대 이후에서 주로 나타나고, 여성 환자 비율이 남성보다 약 3배 정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 중 12~18%가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앓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촉진 등으로 통증을 느끼는지 확인한 후, 혈액검사, 타액분비율 검사 등으로 혀에 통증과 작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하나씩 배제한 후 구강통증을 일으킬만한 명확한 원인이 없을 때 진단한다.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확인되면 신경으로 인한 일차성인지, 다른 질환으로 유발된 이차성 질환인지 구별한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으로는 ▲비타민 B12 부족 ▲엽산 부족 ▲칸디다증 ▲빈혈 ▲아연 부족 ▲당뇨 ▲갑상선 기능저하 ▲구강건조 ▲알레르기 등이 있다.
이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이라면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구강작열감증후군도 완화된다. 심리적인 문제로 유발된 것이라면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혀에 통증이 지속되면 암에 대한 불안과 우울증이 따라올 수도 있으므로, 암이 아니라는 확인을 위해서라도 제때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1. 혀 통증
2. 혀 아픈 원인
3. 통증 없이 혀가 아픈 이유
4. 독감에서 혀 아픔
5. 혀 통증 질환
6. 구강 건강
7. 혀 아픔과 구강 건강
8. 구강 질환 가이드
9. 입 안 이상 없는데 혀 아픔
10. 통증 없는 혀 아픔 치료법
11. 수족구병 감염
12. 헛구역질과 혀 아픔
13. 스트레스로 인한 혀 통증
14. 음식 알레르기와 혀 아픔
15. 흡연에 의한 혀 통증
16. 항암 치료 후 혀 아픔
17. 약물 부작용과 혀 아픔
18. 보건 및 웰니스
19. 구어 장애
20. 혀통증 진단 및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