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 공기가 아무리 나빠도 환기는 꼭 해야 한다. 밀폐된 실내가 오히려 공기 중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의 농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는 사람의 호흡 과정에서 방출되거나 취사 시 발생하며 두통, 안면홍조 등을 일으킨다. 포름알데히드는 단열재나 가구에서 방출되는데 기침이나 가슴 통증 등을 유발한다. 미세먼지는 실내 바닥이나 실외 유입을 통해 생성되는데, 그 속에 납,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을 함유해 폐 질환, 안구 가려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실내에서 청소, 조리, 흡연 등을 할 경우 실내 공기 질은 바깥공기 상태보다 훨씬 나쁘다. 2020년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밀폐된 실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는 ▲이불 털기 250~800㎍/㎥ ▲청소기 이용 200~400㎍/㎥ ▲실내 흡연 1만㎍/㎥ (측정 불가, 추정치) ▲조리 2530㎍/㎥에 달한다. 미세먼지 농도별 예보 등급에서 매우 나쁨이 151㎍/㎥ 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미세먼지 특별대책위원회에 따르면 환기는 하루 3번 30분 이상 실시한다. 실내 오염도가 높을 때는 자연환기나 기계 환기를 실시한다. 대기오염도가 높은 도로변 외의 다른 창문을 열어두는 게 좋다. 공기청정기가 미세 먼지를 일부 제거할 수도 있지만, 실내에 축적된 유해 물질을 없애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오염 농도가 심할 경우 하루가 지나도 오염 물질이 다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를 사용해도 주기적으로 환기를 해야 한다.
1. 황사
2. 미세먼지
3. 환기
4. 황사대처법
5. 미세먼지 대처법
6. 환기 방법
7. 공기 청정기
8. 황사와 미세먼지
9. 실내 공기질
10. 환기의 중요성
11. 미세먼지 환기
12. 황사 시기 환기
13. 실내 환경
14. 미세먼지 건강 영향
15. 황사 건강 영향
16. 환기 시간
17. 미세먼지 대응
18. 황사 대응
19. 실내 공기 관리
20. 환경오염
21. 미세먼지 예방
22. 황사 예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