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명 추적 연구 결과, ‘백년장수’의 비결을 찾다

4만명 추적 연구 결과, ‘백년장수’의 비결을 찾다, 시보드 블로그

100세 이상 산 사람들의 혈액 바이오마커로 장수 비결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0세 인구는 점차 증가하는 중이다. 1970년대 이후 약 10년마다 두 배로 증가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인구통계학적 그룹이다. 최근, 100세 이상 산 사람들의 바이오마커를 통해 장수 비결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연구팀이 64~99세에 건강검진을 받은 노인 4만4천명을 최대 35년간 추적 관찰했다. 참여자들 중 1224명이 100세 이상 살았고 대다수가 여성이었다.

연구팀은 염증, 신진대사, 간 및 심장 기능, 영양실조 및 빈혈 등을 나타내는 혈액 기반 12개의 바이오마커를 기준으로 참여자들을 분석했다. 해당 바이오마커는 노화 및 사망과 관련이 있다. 특정 음식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체내 노폐물인 요산, 콜레스테롤, 포도당, 알라닌 아미노 전이효소(Alat),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 전이 효소(Asat), 알부민 등이다.

참여자들 혈액검사 결과, 100세 이상 산 사람들은 60대 이후부터 혈중 포도당, 크레아티닌 및 요산 수치가 낮았다. 바이오마커들 중, 요산 수치 차이가 장수를 결정짓는 가장 뚜렷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산 수치가 가장 낮은 사람은 100세까지 살 확률이 4%였지만 요산 수치가 높은 사람은 1.5%였다. 이외에 알라닌 아미노 전이효소와 알부민도 100년 장수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였다. 100세 이상 산 대부분의 사람들은 혈당과 크레아티닌 수치가 낮았다. 그들 중 극히 일부만 당화혈색소 6.5 이상이거나 크레아티닌 수치 125 이상이었다.

연구팀은 어떤 생활습관 요인이나 유전자가 해당 바이오마커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단, 영양관리 및 알코올 섭취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수록 신장과 간수치, 포도당, 요산 등을 정기적으로 추적할 것을 강조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Geroscience)’에 최근 게재됐다.

1. 백년장수
2. 백년장수 비결
3. 4만 명 추적 관찰
4. 백년장수 연구
5. 길게 살기 위한 방법
6. 장수의 비밀
7. 오래 살기 위한 라이프스타일
8. 건강 장수의 비밀
9. 백세 시대
10. 긴 생명 비결
11. 장수의 식습관
12. 백년장수 운동
13. 건강하게 오래 사는 방법
14. 장수 연구 결과
15. 오래 사는 방법 연구
16. 백세인의 생활습관
17. 백년장수 건강팁
18. 장수 지역 비결
19. 고령화 사회
20. 장수족의 생활
21. 백세인의 식단
22. 백년장수 신체활동
23. 장수의 행복 비결
24. 백세인의 심리
25. 장수의 스트레스 관리.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